인터시티 풋볼 리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터시티 풋볼 리그는 2007년 시작된 타이완의 최상위 축구 리그였다. 초기에는 거주지를 기준으로 팀이 분류되었으며, 2008년부터는 팀 단위의 참가를 허용했다. 2009년에는 연고지 규정이 도입되었지만, 2010년에는 다시 이전 규정으로 회귀했다. 리그는 A급과 B급으로 구성되었으며, 승강제가 적용되었다. 2016년을 마지막으로 대회가 종료되었고, 타이완 풋볼 프리미어리그가 그 자리를 대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만의 축구 리그 - 타이완 풋볼 프리미어리그
타이완 풋볼 프리미어리그는 2017년 인터시티 풋볼 리그를 대체하여 창설된 타이완의 최상위 프로 축구 리그로, 8개 팀으로 시작하여 2부 리그와 승강제를 시행하며, 우승 팀에게는 AFC 챌린지리그 진출권이 주어진다. - 2007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베이스볼 챌린지 리그
베이스볼 챌린지 리그는 2007년 일본에서 출범한 독립 야구 리그로, 현재 7개 팀이 1개 지구 체제로 운영되며, NPB 팜 리그 진출을 목표하는 선수들의 등용문 역할을 한다. - 2007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방글라데시 프리미어리그
방글라데시 프리미어리그(BPL)는 2007년 출범한 방글라데시 최상위 프로 축구 리그로, 아바하니 리미티드 다카가 최다 우승을 기록하고 있으며, 승강제를 통해 운영되고 리그 우승팀은 AFC 챔피언스리그 진출 자격을 얻는다. - 아시아의 축구 1부 리그 - A리그 멘
A리그 멘은 오스트레일리아 최초의 프로 축구 리그로서, 1도시 1팀 체제와 민족색 배제를 통해 대중적 인기 확보를 목표로 2004년 출범하여 현재 AFC 챔피언스리그 출전 및 다양한 더비 매치로 인기를 얻고 있다. - 아시아의 축구 1부 리그 - 리가 1 (인도네시아)
리가 1은 인도네시아 최상위 프로 축구 리그로서, 여러 리그 통합 및 혼란기를 거쳐 2017년 현재 명칭으로 개편되었으며, 18개 팀이 참가하여 승강제를 통해 리가 2와 교류하고, 스폰서십을 받아 "고젝 트래블로카 리가1"으로도 불리는 인도네시아 축구의 중심 리그이다.
인터시티 풋볼 리그 | |
---|---|
기본 정보 | |
스포츠 | 축구 |
창립 | 2007년 |
해체 | 2016년 |
국가 | (대만) |
리그 정보 | |
참가 팀 수 | 8 |
하위 리그 | CTFA 축구 디비전 |
최근 우승팀 | 타이파워 |
최근 우승 시즌 | 2015-16 시즌 |
최다 우승팀 | 타이파워 (6회) |
운영 | |
웹사이트 | CTFA |
방송 | |
TV 방송국 | astro, IDN.Vision, TPE Channel |
2. 역사
인터시티 풋볼 리그는 2007년 중화민국 축구 협회에 의해 창설된, 당시 대만 최고 수준의 축구 리그였다. 엔터프라이즈 풋볼 리그가 2009년 해산되면서 인터시티 풋볼 리그에 흡수되었다.
2010년 8월, 미디어텍이 리그 스폰서가 되면서 리그 명칭이 '롄파커지 도시 축구 리그'로 변경되기도 했다.[6]
역대 우승팀은 다음과 같다:[3]
시즌 | 우승 | 준우승 | 3위 | 4위 |
---|---|---|---|---|
2007 | 타이페이 시티 다퉁 | 타이페이 체육대학 (타이난 현 소속) | 이란 현 | 자이 현 |
2008 | 가오슝 현 타이파워 | 타이완 체육대학 (자청 신 소속) | 타이페이 체육대학 (타이난 현 훈싱 소속) | 타이페이 시티 다퉁 |
2009 | 타이완 체육대학 (가오슝 시 요에디 소속) | 가오슝 현 타이파워 | 타이페이 체육대학 (타이난 현 소속) | 타이페이 시티 다퉁 |
2010 | 가오슝 현 타이파워 | 타이페이 체육대학 (아식스 소속) | 타이페이 시티 다퉁 | 국립 스포츠 훈련 센터 |
2011 | 가오슝 현 타이파워 | 타이페이 시티 다퉁 | 타이완 체육대학 | 타이페이 체육대학 |
2012 | 가오슝 현 타이파워 | 타이페이 시티 다퉁 | 국립 스포츠 훈련 센터 | 타이완 체육대학 |
2013[4] | 타이페이 시티 다퉁 | 가오슝 현 타이파워 | 타이중 시티 드래곤 | 밍촨 대학교 |
2014 | 가오슝 현 타이파워 | 국립 스포츠 훈련 센터 | 타이중 시티 드래곤 | 타이페이 시티 다퉁 |
2015–16[5] | 가오슝 현 타이파워 | 타이페이 시티 다퉁 | 타이완 체육대학 | 국립 스포츠 훈련 센터 |
우승 팀에게는 AFC 챌린지 리그 출전권이 주어졌다.
2. 1. 창설 배경 및 초기 (2007-2008)
'''인터시티 풋볼 리그'''는 실업 리그였던 엔터프라이즈 풋볼 리그를 대체하는 새로운 최상위 리그로서 2007년에 창설되었다. 초기에 선수들은 축구단이 아닌 그들의 주거지 행정 구역에 따라 팀으로 분류되었다. 중화민국 축구 협회는 인터시티 풋볼 리그의 창설을 통해 지역 연고제를 뿌리 내리고 지방 정부와 의회, 기업의 후원 체계를 도모하였다. 첫 시즌에는 각 행정구역의 장이 구단주의 역할을 했다.2008년 중화민국 축구 협회는 행정 구역 단위가 아닌 팀에게도 참여를 허락하였다. 타이파워와 여러 대학 팀들이 참여하게 되었다.[8]
2. 2. 규정 변화와 혼란 (2009-2015)
중화민국 축구 협회는 2009년에 새로운 리그 규정을 발표하였다. 각 팀은 하나의 행정구역 명에 관련된 이름을 가져야 하며, 2/3 이상의 선수가 해당 행정구역에 연고를 가져야 한다는 내용이었다. 승강제 방안 또한 발표되었다.[8] 하지만 새 규정은 다음 시즌까지 이어지지 않았고, 2010 시즌에는 2008년과 유사한 규정이 다시 채택되었다.2. 3. 폐지 (2016)
2016시즌을 마지막으로 더는 대회가 열리지 않으며 타이완의 축구 1부 리그 자리를 타이완 풋볼 프리미어리그에게 내주었다.3. 리그 운영 방식
2016년 시즌을 마지막으로 더는 대회가 열리지 않았으며, 타이완의 축구 1부 리그 자리는 타이완 풋볼 프리미어리그에게 내주었다. 2013년 리그 개최 장소는 타이난 시립 축구장, 타이베이 육상 경기장, 타이베이 바이링 구장이었다.
3. 1. 초기 운영 방식 (2007-2008)
2007년 실업 리그였던 엔터프라이즈 풋볼 리그를 대체하는 새로운 최상위 리그로 인터시티 풋볼 리그가 창설되었다. 초기에 선수들은 축구단이 아닌 그들의 주거지 행정 구역에 따라 팀으로 분류되었다. 중화민국 축구 협회는 인터시티 풋볼 리그의 창설을 통해 지역 연고제를 뿌리 내리고 지방 정부와 의회, 기업의 후원 체계를 도모하였다. 첫 시즌에는 각 행정구역의 장이 구단주의 역할을 했다.2008년 중화민국 축구 협회는 행정 구역 단위가 아닌 팀에게도 참여를 허락하였다. 타이파워와 여러 대학 팀들이 참여하게 되었다.
3. 2. 2009년 개정된 운영 방식
CTFA는 2009년에 새로운 리그 규정을 발표했다. 각 참가 팀은 하나의 행정 구역과 관련이 있는 이름을 가져야 하며, 선수 중 2/3 이상은 한 달 이상 해당 지역에 가구 등록을 해야 했다. 승강제 방안 또한 발표되었다.[8] 그러나 새 규정은 다음 시즌까지 이어지지 않았고, 2010 시즌에는 다시 2008년과 유사한 규정이 채택되었다.2009년에는 인터시티 풋볼 리그의 발전을 목표로 기업 축구 리그가 폐지되었지만, 승격 제도를 포함한 2부제와 홈타운주의 유지는 한 시즌만 지속되었다. 2010년 시즌부터는 지방 대표와 대학, 사회인 팀이 혼재하는 상태가 되었다.
참가 팀은 반드시 소재 도시 또는 현(県)의 명칭을 팀명에 포함해야 하며, 중학생 이하의 선수는 참여할 수 없다. 출전 선수의 3분의 2 이상은 반드시 팀명에 있는 도시에 호적을 가지고 1개월 이상 경과해야 한다. 리그는 승격 제도가 있는 A급, B급 2개 리그로 구성되며, A급 최하위 팀은 B급으로 자동 강등되고, B급 1위 팀이 자동 승격된다. A급 6위 팀과 B급 2위 팀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승강전을 치러 승리한 팀이 다음 해 A급 리그 참가 자격을 얻는다.
리그는 6월과 7월에 개최되는 제1순환(제1 스테이지)과 9월부터 11월에 걸쳐 개최되는 제2순환(제2 스테이지)으로 나뉘며[7], 두 스테이지의 성적을 합산하여 최상위 팀이 우승한다. 또한, 리그는 집중 개최 방식으로 진행된다.
4. 역대 우승팀
시즌 | 우승 | 준우승 | 3위 | 4위 |
---|---|---|---|---|
2007 | 타이페이 시티 다퉁 | 타이페이 체육대학(타이난 현 소속) | 이란 현 | 자이 현 |
2008 | 가오슝 현 타이파워 | 타이완 체육대학(자청 신 소속) | 타이페이 체육대학(타이난 현 훈싱 소속) | 타이페이 시티 다퉁 |
2009 | 타이완 체육대학(가오슝 시 요에디 소속) | 가오슝 현 타이파워 | 타이페이 체육대학(타이난 현 소속) | 타이페이 시티 다퉁 |
2010 | 가오슝 현 타이파워 | 타이페이 체육대학 (아식스 소속) | 타이페이 시티 다퉁 | 국립 스포츠 훈련 센터 |
2011 | 가오슝 현 타이파워 | 타이페이 시티 다퉁 | 타이완 체육대학 | 타이페이 체육대학 |
2012 | 가오슝 현 타이파워 | 타이페이 시티 다퉁 | 국립 스포츠 훈련 센터 | 타이완 체육대학 |
2013[4] | 타이페이 시티 다퉁 | 가오슝 현 타이파워 | 타이중 시티 드래곤 | 밍촨 대학교 |
2014 | 가오슝 현 타이파워 | 국립 스포츠 훈련 센터 | 타이중 시티 드래곤 | 타이페이 시티 다퉁 |
2015–16[5] | 가오슝 현 타이파워 | 타이페이 시티 다퉁 | 타이완 체육대학 | 국립 스포츠 훈련 센터 |
5. 2017 시즌 참가 클럽
클럽명 | 영문명 |
---|---|
푸젠 FC | Fu Jen FC |
명전대학교 | Ming Chuan University |
국가 훈련 | NSTC |
로열 블루스 | Royal Blues |
타이난 시 | Tainan City FC |
가오시 타이파워 | Taipower |
베이시 다퉁 | Tatung |
대만 체육 대학교 | TSU |
6. 과거 참가 클럽
다음은 인터시티 풋볼 리그에 참가했던 클럽들이다.
클럽명 | 참가 시즌 |
---|---|
자현명도 | 2007 |
북현삼중 | 2009 |
북현명성 | 2009 |
타이난현 | 2007, 2009 |
동현국원 | 2009 |
먀오리현 | 2009 |
타이베이현 | 2007, 2010 |
이란현 | 2007-2010 |
북체 (북체홍흠, 북체Asics) | 2010-2011 |
화롄 자오톈 | 2011 |
참조
[1]
웹사이트
Pro soccer league coming to Taiwan in 2018, CTFA says - Taipei Times
http://www.taipeitim[...]
2013-03-21
[2]
뉴스
http://www.ctfa.com.[...]
Chinese Taipei Football Association
2008-11-25
[3]
웹사이트
Taiwan - List of Champions
https://www.rsssf.or[...]
2011-11-26
[4]
웹사이트
MediaTek 2013 National Football League Man City
http://www.ctfa.com.[...]
CTSA
2013-11-30
[5]
웹사이트
2015-16 National Football League Man City
http://www.ctfa.com.[...]
CTSA
2016-04-23
[6]
웹사이트
城市足球/科技龍頭贊助足球賽事 力挺台灣踢進世界
https://web.archive.[...]
nownews.com
2010-08-30
[7]
문서
2012全國城市足球聯賽賽程表
http://www.ctfa.com.[...]
中華民国足球協会
2012-04-20
[8]
뉴스
【城市聯賽】2009城市聯賽 升降級、屬地主義上路
http://www.ctfa.com.[...]
중화민국축구협회
2008-11-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